현행 대입제도와 새 대입제도의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2 13:45
본문
Download : 현행 대입제도와 새 대입제도의 검토.hwp
Download : 현행 대입제도와 새 대입제도의 검토.hwp( 56 )
현행 대입제도와 새 대입제도의 검토에 대한 자료입니다. 현행대입제도와새대입제도의비교 , 현행 대입제도와 새 대입제도의 검토사범교육레포트 ,
목차
I. 2005학년도 대학 입시제도 개요
1. 기본 방향
2. 전형 유형
3. 주요 전형
4. 2005학년도 대입의 특징
II.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이해
1. 출제 영역(기본 체제)
2. 현행 수능시험과의 비교
3. 수능 체제 변경의 주요 특징
III. 2005학년도 대입준비 방법
1. 전반적인 대책
2. 전형 별 대책
3. 입시책략 수립
(1) 입시책략 수립 모형
(2) 입시책략 수립 절차
4. 대입 전형 체제와 주요 전형 활용
5.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6. 대학 입학 수학능력시험 성적 반영
7. 소결
IV. 2008학년도 이후의 대학입학제도 改善(개선) 대책(시안)
1. 제도改善(개선) 시안
2. 이번 시안의 핵심적인 내용은,
3. 제도改善(개선) 후의 변화 모습(기대效果)
V. `2008학년도 대학 입시안’문제로 불거진 고1 교실의 혼란
1. 절대평가에서 상대 평가로
2. 3불(不)정책(본고사·고교등급제·기여입학제 금지)
3. 핵심은 전형계획
4. ‘교육 평등’속의 私교육비·유학비 급증
5. 고1학생 55%, 내신 등급제 재검토해야 ,사교육비 증가, 경쟁심리 증가, 시험 부담 증가
VI. 대입제도 改善(개선) 안, 해법은?
1. 대입제도의 자율화
VII. 교육과정과 대입제도, 어떤 관계이고 무엇이 문제인가?
I. 2005학년도 대학 입시제도 개요
1. 기본 방향
(1) 대학별 학생선발 방법의 자율화ㆍ다양화ㆍ속성 화 정책 지속
- 학교생활기록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반영 방법은 대학별로 자율 결정
- 학생의 소질, 적성, 특기 및 대학의 교육이념과 전공 속성 반영 권장
(2)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선발방법 유도
- 수능성적 비중 축소 및 일부 영역, 가중치, 등급제 활용 권장
- 학생부 성적 및 비교과 기록의 다양한 활용 권장
(3) 7차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학생부 반영방법
- 고교 1학년 성적 :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 고교 2~3학년 성적 : 선택중심 교육과정
(4)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에 적합한 성적 반영방법
- 인문계, 자연계, 예ㆍ체능계 등 수능시험의 계열구분 폐지
- 총점제와 원점수를 페지하고, 영역/과목별 표준점수 및 등급 제공
- 출제범위에 직접 포함되는 교과목은 선택중심 교육과정 위주로 출제
- 일부 영역은 선택과목 중 각각 1~4 과목까지만 응시 가능
2. 전형 유형
(1) 일반전형 : 특별한 지원 자격 기준을 설정하지 않는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전형
(2) 특별전형 : 학생의 특별한 경력이나 소질을 기준으로 하는 전형 (취업자, 특기자, 실업계고교 출신자, 학교장 추천자 등) 차등적인 보상기준에 의한 전형 (소년소녀가장, 독립유공자 손,자녀 등) 기타 정원외 특별전형 (농어촌 학생, 특수교육대상자, 재외국민과 외국인 등)
3. 주요 전형
(1) 수능성적 : 전 영역 또는 영역별 반영
* 현행 5개 영역 : 언어, 수리, 사회, 과학, 영어, 제2외국어(선택)
* 2005학년도 4개 영역 : 언어, 수리, 사회ㆍ과학ㆍ직업 택일, 영어,
한문ㆍ제2외국어 (선택)
(2) 학생부…(drop)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현행 대입제도와 새 대입제도의 검토에 대한 data(資料)입니다.
,사범교육,레포트
현행대입제도와새대입제도의비교
현행 대입제도와 새 대입제도의 검토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