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적 고용관계와 무노조기업의 고용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3 19:09
본문
Download : 개별적 고용관계와 무노조기업의 고용관계.pptx
_SLIDE_1_
노사관계론
9장. 개별적 고용관계와 무노조기업의 고용관계
_SLIDE_2_
개별적 고용관계
1
Next
-개별적 고용관계의 중요성
노조의 影響(영향)력이 쇠퇴하면서 개별 고용관계를 규율하는 법령과 제도의 중요성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별 고용관계를 규율하는 각종 법령은 노조와 단체협약이 없는 environment에서는
개별피고용인을 보호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된다
-개별적 근로관계법의 종류
근로기준법, 선원법, 최저임금법,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퇴직급여보장법,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등에 관한 법률, 산업안전 보건법
_SLIDE_3_
근로조건 준수
1-1
Next
-목적
근로기준법은 최저근로기준을 정하여 피고용인을 보호하는 것.
구체적으로는 근로기준법은 근로조건과 기타 생활조건을 ...
_SLIDE_1_
노사관계론
9장. 개별적 고용관계와 무노조기업의 고용관계
_SLIDE_2_
개별적 고용관계
1
Next
-개별적 고용관계의 중요성
노조의 影響(영향)력이 쇠퇴하면서 개별 고용관계를 규율하는 법령과 제도의 중요성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별 고용관계를 규율하는 각종 법령은 노조와 단체협약이 없는 environment에서는
개별피고용인을 보호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된다
-개별적 근로관계법의 종류
근로기준법, 선원법, 최저임금법,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퇴직급여보장법,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등에 관한 법률, 산업안전 보건법
_SLIDE_3_
근로조건 준수
1-1
Next
-목적
근로기준법은 최저근로기준을 정하여 피고용인을 보호하는 것.
구체적으로는 근로기준법은 근로조건과 기타 생활조건을 일정한
수준이상으로 유지할 목적으로 최저근로조건을 정하고 이의 실시
여부를 감독하여 피고용인을 보호하고자 함.
적용범위와 기본 원칙
적용범위:상시 5인 이상의 피고용인을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
근로계약 체결시 사항: 임금(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지급방법 등), 소정
근로시간, 휴일, 연차 유급휴가 등을 서면으로 명시하고
피고용인이 요구하면 근로계약서를 교부하여야함.
_SLIDE_4_
근로조건 준수
1-1
Next
_SLIDE_5_
근로조건 준수
1-1
Next
- 해고등의 제한
근로기준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리고 기타 징벌 등을 할 수 없다.
다만, 긴박한 경영상의 이유 5가지(경영상의 필요, 해고회피노력, 합리적이고 공정한 기준에 따라
해고대상자를 선정, 해고…(drop)






개별적,고용관계와,무노조기업,고용관계,경영경제,레포트
개별적 고용관계와 무노조기업의 고용관계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설명
개별적 고용관계와 무노조기업의 고용관계 , 개별적 고용관계와 무노조기업의 고용관계경영경제레포트 , 개별적 고용관계와 무노조기업 고용관계
Download : 개별적 고용관계와 무노조기업의 고용관계.pptx( 27 )
개별적 고용관계와 무노조기업의 고용관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