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평준화에 대한 토론 data(자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6 20:14
본문
Download : 고교 평준화에 대한 토론 자료.hwp
설명
고교 평준화에 대한 토론 data(자료)입니다.
4. 평준화가 폐지되어야 하는 이유
학력의 하향 평준화• 상위권 학생의 성적 저하
• 각자 능력에 맞는 교육을 받지 못함
• 학습집단의 이질화로 인한 학습지도 곤란 - 교육의 수월성 침해학교 선택권의 침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 맞지 않음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고교 평준화에 대한 토론 자료.hwp( 18 )
평준화2



순서
다.
,법학행정,레포트
고교 평준화에 대한 토론 자료입니다. 평준화2 , 고교 평준화에 대한 토론 자료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고교 평준화에 대한 토론 data(자료)
평준화 정책의 도입 배경
2-1. 시행 취지
‘고등학교의 교육 조건을 평준화하여 학교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그를 통해 교육의 기회균등과 평등을 실현한다’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은 1969년 실시된 “중학교 무시험제도”와 비슷한 이유에서 실시된다
• 과열된 입시 경쟁은 중학생들에게 과중한 입시부담을 초래하여 이들의 건전한 정신적, 신체적 발달을 저해
• 중학교육이 고등학교 입시준비 교육으로 변질되어 중학교의 교육과정이 파행적으로 운영
• 과열 과외의 성행으로 학교교육이 도외시되어 학교교육의 권위가 실추
• 과중한 과외비 부담
• 명문고등학교들이 대도시에 밀집해 있어 인구의 도시집중
3. 평준화 정책의 전제조건
• 학생의 평준화
• 교원의 평준화
• 교육여건의 평준화
4. 평준화 정책의 보완과정
• 고교 평준화 정책이 고교 진학을 위한 과열 입시 위주의 교육풍토를 improvement하는데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됨
• 그러나 학력의 하향평준화, 학생의 학교선택권 제한, 교육의 획일화, 사립고의 자율성 제한 등의 問題點 발생
• 보완책으로
90년대 들어 과학고, 외국어고 등 다양한 유형의 특수목적고 설립, 보충수업 및 교과별 이동 수업 등을 실시
지난해 학생선발, 교과과정, 등록금 책정 등에서 자율권을 가진 자립형 사립고 허용도 같은 맥락에서 도입됨
※당초 전국 30여개 학교에서 시범운영할 계획이었지만 반발에 부딪혀 5개교만 시범 학교로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