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행정] 민법상의 소멸시효기간에 대하여 / 민법상의 소멸시효기간에 대하여 1. 일반채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21:24
본문
Download : 민법상의 소멸시효기간에 대하여.hwp
② 채권 및 소유권 이외의 재산권은 20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 그 대부분은 정기금채권이라는 기본채권의 지분권인 경우가 많다. 다만 불법행위를 이유로 하는 손해배상청구권은 가해자 및 손해를 안 날로부터 3년의 단기의 소멸시효에 걸린다는 특별규정이 있다(제766조). 그리고 상행위로 인한 채권은 원칙적으로 5년의 소멸시효에 걸린다(상법 제64조). 2) 제2항 소유권은 소멸시효에 걸리지 않으며, 그 이외의 재산권 예컨대 지역권·지상권 등은 20년의 소멸시효에 걸린다.
민법상의 소멸시효기간에 대하여 . 일반채권과 채권 이외의 재산권 제162조 [채권, 재산권의 소멸시효] ① 채권은 10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 1) 제1항 일반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은 원칙적으로 10년이다. 예컨대 1천만원을 3년간 년10%의 이율로 대여하면서 다만 이자는 매월 나누어 지급받기로 한 경우, 매월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지분적 이자채권이 그 예...
순서
민법상의 소멸시효기간에 대하여 1. 일반채권과 채권 이외의 재산권 제16...
설명
[법학행정] 민법상의 소멸시효기간에 대하여 / 민법상의 소멸시효기간에 대하여 1. 일반채권
법학행정 민법상의 소멸시효기간에 대하여 / 민법상의 소멸시효기간에 대하여 1. 일반채권
Download : 민법상의 소멸시효기간에 대하여.hwp( 97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민법상의 소멸시효기간에 대하여 1. 일반채권과 채권 이외의 재산권 제16...
다. . 3년의 단기소멸시효에 걸리는 채권 제163조 [3年의 단기소멸시효] 다음 각 호의 채권은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 이자, 부양료, 급료, 사용료 기타 1년 이내의 기간으로 정한 금전 또는 물건의 지급을 목적으로 한 채권. 의사, 조산원, 간호원 및 약사의 치료, 근로 및 조제에 관한 채권 . 도급받은 자, 기사 기타 공사의 설계 또는 감독에 종사하는 자의 공사에 한 채권. 변호사, 변리사, 공증인, 회계사 및 법무사에 대한 직무상 보관한 서류의 반환을 청구하는 채권. 변호사, 변리사, 공증인, 회계사 및 법무사의 직무에 관한 채권. 생산자 및 상인이 판매한 생산물 및 상품의 대가. 수공업자 및 제조자의 업무에 관한 채권 1) 제1호 제1호의「1年 이내의 기간으로 정한 채권」이라 함은 1년 이내의 정기에 지급되는 채권(정기급부채권)을 의미하는 것이고 변제기가 1년 내의 채권이라는 의미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