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론(認識論)의 형성과 쟁점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8:24
본문
Download : 인식론(認識論)의 형성과 쟁점들.hwp
그리고 여기서 ‘인식’이라는 말은 ‘지식’이라는 말과 의미상의 차이는 없으며, 다만 ‘인식’이라는 명사는 ‘인식하다’는 동사를 동족어를 가지고 있는 데 반하여, ‘지식’은 그렇지 못한 관계로 통상 ‘인식’이라는 말이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2. 인식론의 형성
‘인식론’이라는 말은 유럽 철학계에서는 19세기 중반에 생긴 것으로 조사되어 있고, 한국철학계에서도 20세기 초 서양철학이 유입되면서 여타의 철학 용어와 함께 사용되기 처음 하였다.
“나는 어릴 적부터 얼마나 많이 거짓된 것을 참인 것으로 인정해 왔으며, 그것들을 바탕으로 해서 세운 것이 얼마나 의심스러운 것인가를 이미 여러 해 전에 깨닫고, 따라서 내가 앎들에서 언제라도 확고부동한 지주점을 정립하고자 한다면, 일생에 한 번은 이제까지 내가 받아들였던 모든 것을 근본적으로 뒤엎고, 최초의 토대에서부터 다시 처음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자각하였다.
레포트/인문사회
%EC%9D%98%2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1.gif)
%EC%9D%98%2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2.gif)
%EC%9D%98%2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3.gif)
%EC%9D%98%2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4.gif)
%EC%9D%98%2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5.gif)
%EC%9D%98%20%ED%98%95%EC%84%B1%EA%B3%BC%20%EC%9F%81%EC%A0%90%EB%93%A4_hwp_06.gif)
up인식론
1. ‘인식론’의 정의(定義)
2. 인식론의 형성
3. 인식론의 쟁점들
4. 대표적인 학설들
인식의 기원의 문제
인식의 대상 및 내용의 문제
참된 인식 곧 진리의 문제
인식(능력)의 한계 문제
출처
1. ‘인식론’의 정의(定義)
반성적으로 문제의 근원을 밝혀 가는 작업인 철학의 한 분야로서 인식론(認識論, epistemologia, epistemology, theory of knowledge, Erkenntnislehre)은 인식의 가능 원리를 탐구한다. 그러니까, ‘인식론’ 또는 ‘인식theory(이론)’을 ‘지식론’ 또는 ‘지식theory(이론)’이라고 일컬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흔히 서양의 근대철학을 ‘인식론 중심의 철학’이라고 일컫는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인식론의 탐구는 ‘인식론’이라는 용어가 생기기 훨씬 이전, 적어도 데카르트(R. Descartes, 1596-1650)부터는 처음 되었다고 보아야 한다.”(Descartes, Meditationes de prima phi…(drop)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인식론(認識論)의 형성과 쟁점들
설명
Download : 인식론(認識論)의 형성과 쟁점들.hwp( 73 )
인식론(認識論)의 형성과 쟁점들up인식론 , 인식론(認識論)의 형성과 쟁점들인문사회레포트 ,
인식론(認識論)의 형성과 쟁점들
다. 인식론 곧 ‘인식에 대한 theory(이론)’은 인식에 대한 반성의 결실인데, 인식에 대상으로하여 반성한다 함은 인식을 인식이게끔 해 주는 토대, 그것도 참된 인식 즉 진리를 진리이도록 만들어 주는 의심할 여지없는 확실한 기초를 추궁하고, 어떤 인식이 참이기 위한 조건들을 성찰한다는 뜻이다.